日 오사카 엑스포서 韓 국민음료 맥콜이 추방당한 이유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14일부터 시작된 오사카 엑스포 박람회장 내 한국 제품 판매 부스에서 K팝 굿즈, 화장품, 식품 등과 함께 판매되던 맥콜이 최근 진열대에서 사라졌다. 이는 해당 부스에 진열된 맥콜 사진이 4월 말 소셜미디어(SNS)에 올라오면서 "통일교 관련 기업 제품이 엑스포에서 판매되고 있다"는 논란이 확산된 결과다.
논란이 커지자 일본 국제박람회협회는 해당 부스를 운영하는 도쿄 소재 한국 식품 수입·유통 업체에 사실 확인을 요청했다. 협회 측은 "업체는 해당 제품이 통일교 계열사에서 제조된 것인 줄 몰랐다고 한다"며 "논란이 되자 자발적으로 판매를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맥콜은 가정연합 계열사인 식음료 기업 '일화'의 대표 제품으로, 1982년 출시된 한국 최초의 보리 탄산음료다. 산케이는 맥콜에 대해 "마니아층이 있는 한편 특유의 맛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맛없는 콜라'라는 별명이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일본에서는 1980년대에 널리 판매됐고 가수 조용필이 출연한 광고가 방송된 시기도 있었지만, 캔이 파열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현재는 일부 한인 슈퍼마켓 등에서만 판매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1954년 한국에서 설립된 가정연합(구 통일교)은 1964년부터 일본에서 종교 법인으로 인가받아 활동해왔다. 그러나 신도들에게 고액 헌금을 강요하거나 조상들의 고통을 없애고 후손이 잘되려면 '영적 물건'을 사야 한다며 고가의 물건을 강매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됐다.
특히 2022년 7월,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를 총격 살해한 야마가미 데쓰야가 "어머니가 통일교에 막대한 헌금을 하면서 가정이 파탄 났다"고 범행 배경을 밝히면서 일본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 내 통일교에 대한 비판 여론이 급격히 고조됐다.

결국 도쿄 지방재판소는 지난 3월 25일 일본 문부과학성이 청구한 가정연합 해산 명령을 받아들였다. 재판부는 "유례없는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다"며 종교법인법을 근거로 해산을 명령했다. 헌금 피해를 본 사람이 1500명을 넘고 피해액도 204억엔(약 2000억원)에 이른다는 점이 주요 이유였다.
이번 맥콜 판매 중단에 대해 가정연합 계열 단체의 법률대리인인 도쿠나가 신이치 변호사는 "외국 제품까지 배제하는 것은 과잉 반응일 뿐 아니라 혐오 표현"이라며 "일본인은 사회적 편견의 무서움에 대해 냉정히 생각해 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맥콜은 지난해 말 기준 누적 판매량 64억 캔을 기록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음료로 자리매김했다. 현재는 미국과 일본, 러시아,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세계 각국에 수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독특한 보리 향과 맛으로 오랜 시간 사랑받아 온 음료지만, 일본에서는 가정연합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다.
이번 사태는 종교 단체의 사회적 논란이 관련 기업의 제품 판매에까지 영향을 미친 사례로, 종교와 경제 활동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특히 국제 행사에서 특정 종교 단체와의 연관성을 이유로 제품 판매가 중단된 것은 국가 간 문화적, 종교적 인식 차이가 경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newsnaru.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