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海苔)까지 세계 표준화…K-푸드가 국제 규격까지 접수

 우리 전통 음식인 김치가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세계 규격을 다시 인정받으면서, 한국이 ‘김치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다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열린 제48차 코덱스 총회에서 김치를 비롯한 여러 전통 농수산식품 관련 국제 표준이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전했다. 코덱스는 188개국이 참여해 식품 안전과 국제 교역 기준을 만드는 세계식량농업기구(FAO)·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공동 기구로, 여기서 인정받는 규격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식품 기준으로 작용한다. 이번 총회는 2001년 제정된 김치 규격을 20여 년 만에 손질한 자리이기도 했다.

 

그동안 김치의 주원료는 국제 규격에서 ‘차이니즈 캐비지(Chinese cabbage)’ 한 종류만 등록돼 있어 한국 입장에서는 김치가 마치 중국 채소를 원료로 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는 과학 문헌과 국제 교역 현장에서 이미 ‘김치 캐비지(kimchi cabbage)’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며 규격 개정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이번 총회에서 김치 캐비지가 새롭게 등재됐고, 동시에 ‘나파 캐비지(Napa cabbage)’도 함께 포함되면서 김치의 주원료 명칭이 실제 소비·생산 현실을 반영한 형태로 재정비됐다. 이 과정은 한국이 김치의 기원과 정통성을 국제 기준으로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번 총회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안한 ‘김(Gim)’ 제품의 세계 규격 작업이 공식 승인됐다. 지금까지 김 제품은 아시아 지역 규격에만 포함돼 있었지만, 앞으로는 마른김, 구운김, 조미김 등 3종류를 세계 규격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 논의가 시작된다. 인삼 제품과 고추장이 과거 지역 규격에서 세계 규격으로 올라선 전례가 있는 만큼, 김 산업도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마련된 셈이다. 정부는 김의 품질 기준과 위생 규정, 표시사항, 시험법 등이 국제적으로 통일되면 수출 대상국의 까다로운 요구를 일일이 충족해야 하는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수출 규모가 이미 연간 10억 달러를 바라보고 있는 만큼, 이번 규격화 추진은 산업 확장에 직접적인 긍정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이번 총회에서 과일·채소 가공 제품 규격을 다루는 코덱스 가공과채류분과의 의장국으로 선출됐다. 식약처가 앞으로 해당 분과를 이끌게 되면서 김치, 고추장, 인삼 제품 등 한국 대표 식품들의 국제 규격 운영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의장국 역할은 국제 논의 구조를 설계하고 기준 마련 방향을 조율하는 중요한 자리이기 때문에, 한국 식품 산업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여기에 고구마, 밤, 감 등 아시아권에서 많이 소비되는 품목의 국제 기준 설정 논의에도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면서, 한국 농수산물의 세계 표준화 작업은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