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 '가지 마!' 외치다 좀비 PC 될라?…한 달 뒤 대란 예고

오는 10월 14일부터 MS는 윈도우 10 서비스 지원을 공식적으로 중단한다. 이후에는 보안 업데이트나 기술 지원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아, 신규 개발되는 악성코드나 랜섬웨어 등 지능형 사이버 공격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상당수 이용자들이 윈도우 11로의 업그레이드를 꺼린다는 점이다. 글로벌 통계 업체 스탯카운터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윈도우 11의 MS 시장점유율은 49.08%에 그쳤으며, 윈도우 10(45.53%)과 큰 차이가 없다. 신규 PC 출하 시 윈도우 11이 자동 탑재되는 점을 고려하면, 기존 사용자들의 업그레이드 거부율은 훨씬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용자들이 구형 OS를 고수하는 주된 이유는 '관성'과 '호환성' 때문이다. 특히 자체 기술 역량이 부족한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의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전용 코드나 프로그램이 새 OS와 충돌할 경우 발생하는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 소모를 우려한다. 또한, 모바일 경험을 중시한 윈도우 11 특유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용자 반감도 적지 않다.

더 큰 장벽은 윈도우 11의 '높은 하드웨어 요구 사양'이다. 윈도우 10이 1㎓(싱글코어) CPU를 요구하는 반면, 윈도우 11은 1㎓ 듀얼코어 이상을 필요로 한다. 램은 1GB에서 4GB로, 저장 공간은 16GB에서 64GB로 최소 요구사항이 4배씩 상승했다. 이처럼 높은 사양을 갖추지 못한 구형 PC는 물리적으로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현 상태에서 업데이트 지원이 종료돼 보안에 허점이 생긴 PC가 급증할 경우, 이들이 '좀비 PC'로 전락하여 대규모 사이버 공격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우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지난 4월 "윈도우 10 기술 지원 종료에 따른 '제로데이' 공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정부는 이러한 혼란 상황에 대비해 전담반을 설치하고 운영 중이다. 과기정통부 '윈도우 10 기술지원 종료대응 종합상황실'은 각 기관에 윈도우 11로의 업그레이드를 권장하는 한편, 서비스 종료 이후 혹시 모를 보안 사고에 대비해 전용 백신을 개발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대처가 시급한 시점이다.
[ newsnaru.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