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치마 맨 남편, 불륜 뺨치는 로맨스! '백학벌의 새봄'이 북한 주민들 뒤집어 놓은 이유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가부장적 사회로 알려진 북한에서 남성이 가사에 참여하는 모습이 그려졌다는 점이다. 극 중 남성이 꽃무늬 앞치마를 두르고 아내와 딸에게 밥을 차려주는 장면은 북한 사회의 변화된 성 역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가족들이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모습은 북한 당국이 가정 내 남성의 역할 변화를 유도하거나 최소한 인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청춘들의 애달픈 로맨스를 정면으로 다룬 점도 이례적이다. 농업연구사 경미와 검사 영덕의 4년간의 연애와 영덕 어머니의 반대, 그리고 이별 앞에서 괴로워하는 청춘들의 감정 묘사는 과거 한국 드라마의 클리셰를 연상시킨다. 체제 선전과 계몽 목적이 강했던 북한 예술 작품에서 개인의 내밀한 감정, 특히 사랑과 이별의 아픔을 이토록 섬세하게 다룬 것은 새로운 시도로 평가된다. 이는 다양한 외국 영상물에 익숙해진 북한 젊은 층의 눈높이를 맞추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특히 이 드라마는 북한 당국이 한국 영상물 시청을 엄격히 처벌하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을 제정한 가운데 방영되어 더욱 주목받았다. 한류 확산을 차단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젊은 세대의 감성을 자극할 만한 요소를 도입해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다만, '백학벌의 새봄'은 파격적인 연출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인기 농촌 드라마 '석개울의 새봄'에서 모티프를 차용하는 등 소재 자체는 기존 북한 드라마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뒤떨어진 농장을 당의 정책으로 발전시키고 농장원들을 애국 농민으로 키워내는’ 서사 골자는 여전히 체제 선전의 목적을 담고 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도 "당이 제시한 새 시대 농촌혁명강령과 정책들이 구체적으로 반영됐다"고 평가하며, 결국은 당의 노선을 선전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백학벌의 새봄'은 북한 사회의 변화된 풍속도를 반영하면서도, 동시에 체제 유지를 위한 선전 도구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는 복합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 newsnaru.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